https://knowallworld.tistory.com/146
1. 표본공간과 사건
1> 표본공간(Sample Space)
==> 어떤 통계적 목적을 갖고 실험 진행시 모든 결과들의 집합 의미
EX-01) 동전 2번 던지는 실험의 표본 공간(중복순열_Product 사용)
print((list(itertools.product([i for i in range(1,3)], repeat= 2))))
[(1, 1), (1, 2), (2, 1), (2, 2)]
2ㅠ1 = 4
EX-02) 주사위 2번 던지는 실험의 표본 공간(중복순열_Product 사용)
print((list(itertools.product([i for i in range(1,7)], repeat= 2))))
==> itertools.product ==> 중복순열 (순서에 상관있이 중복해서 뽑기 가능)
[(1, 1), (1, 2), (1, 3), (1, 4), (1, 5), (1, 6), (2, 1), (2, 2), (2, 3), (2, 4), (2, 5), (2, 6), (3, 1), (3, 2), (3, 3), (3, 4), (3, 5), (3, 6), (4, 1), (4, 2), (4, 3), (4, 4), (4, 5), (4, 6), (5, 1), (5, 2), (5, 3), (5, 4), (5, 5), (5, 6), (6, 1), (6, 2), (6, 3), (6, 4), (6, 5), (6, 6)]
6ㅠ2 = 36
2> 표본점(Sample Point)
==> 통계적 실험시 나타날 수 있는 개개의 실험 결과
3> 사건(Event)
==> 표본공간의 부분집합, 어떤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한 표본점들의 집합
3-1> 근원사건(Elementary Event) or 단순사건(Simple Event)
==> 단 하나의 표본점
3-2> 복합사건(Compound Event)
==> 2개 이상의 표본점으로 구성된 사건
3-3> 공사건(Empty Event)
==> 표본점이 하나도 들어 있지 않은 사건
EX-01) 동전 2번 던지는 실험의 표본 공간에서 적어도 1번 그림(1번) 이 나오는 사건 구하기
[1,1] [1,2] , [2,1] ==> 3번
EX-02) 주사위의 첫 번째 나온 수가 짝수인 사건
print(len((list(itertools.product([i for i in range(1,7)], repeat= 2)))) - len((list(itertools.product([i for i in range(1,7,2)], repeat= 2)))))
7ㅠ2 - 3ㅠ2 = 36 - 9 = 7
출처 : [쉽게 배우는 생활속의 통계학] [북스힐 , 이재원]
※혼자 공부 정리용
'기초통계 > 순열,조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★전확률 공식★베이즈 정리★기초통계학-[Chapter04 - 확률-06] (0) | 2022.12.12 |
---|---|
★독립사건 종속사건★조건부 확률★기초통계학-[Chapter04 - 확률-05] (0) | 2022.12.12 |
그래프그리기!!★ax.set_xscale('log')★SNS.lineplot()★로그변환★경험,대수법칙, 주관적 확률★기초통계학-[Chapter04 - 확률-04] (1) | 2022.12.11 |
복원, 비복원 추출★SET활용하여 차집합,여집합 가능!★기초통계학-[Chapter04 - 경우의 수-03] (0) | 2022.12.10 |
Permutations(), Combinations()★순열,조합★기초통계학-[Chapter04 - 경우의 수-01] (0) | 2022.12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