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 

통계는 서로 다른 두가지 과정을 통하여 결과를 얻는다.

 

기술통계학 : 

 

EX) 류현진 2014년 5월 ==> 내셔널리그 중부 지구 팀을 상대로 통산 5경기 등판 ==> 5전 전승

 

==> 자료 집단의 여러가지 특성을 기술하는 통계학

 

==> 표,그래프,그림등으로 나타내거나 자료가 갖는 수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방법을 다루는 통계학

 

추측통계학 :

 

EX) 2014년 지방선거 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출구조사 

 

==> 표본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모집단의 정보를 추론

 

==> 표본을 대상으로 얻은 정보로부터 모집단에 대한 불확실한 특성(모수)를 과학적으로 추론 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수치적인 척도에 따른 분류

 

양적자료 :

EX) 1. 지난 한 달 동안 기록한 온도에 관한 측정값 ==> 한 달 동안의 일일 기온 비교하여 기온 비교

       2. 150명으로 구성된 우리 학과 학생들의 키 측정값

       ==>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A가 B보다 더 크거나 작다는 의미 부여

 

==> 이와 같이 숫자에 의미가 부여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이산자료(Discrete Data) : 공백을 가지고 산발적으로 나타나는 자료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연속자료(Continuos Data) : 지정한 구간 안에서 관측값 사이에 공백 없이 측정되는 자료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

질적자료(Qualitative Data): 

EX) 1. 150명으로 구성된 학과 학생들 중 남자는 99명, 여자는 51명

==> 150명의 학생은 남자, 여자의 2가지 범주로 구분

 

       2. A형, B형, AB형 , O 형 합해서 176명

       ==> 4가지 범주인 A,B,AB,O형으로 구분된다.

 

==> 이와 같이 범주형 자료는 숫자에 의하여 표현되지 않고 여러 개의 범주로 구분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명목자료(nominal Data) : 각 범주를 숫자로 대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==> EX) 초등학교 1 중학교 2 고등학교 3 대학교 4 ==> 부여된 숫자는 순서의 개념

 

출처 :  [쉽게 배우는 생활속의 통계학]  [북스힐 , 이재원] 

※혼자 공부 정리용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