★count()함수 활용하기★★문자열 슬라이싱★[백준 파이썬 2941번 크로아티아 알파벳]
2023. 3. 28. 16:44
728x90
반응형
VERSION 2.0
import sys
A = str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croatia = ['c=' , 'c-' ,'dz=' ,'d-' ,'lj','nj','s=','z=']
count = 0
for i in croatia:
if i in A:
count += A.count(i)
print(len(A)-count)
==> count() 함수 사용하기 , 문자열로 안에 들어가있는거 확인하기
VERSION 1.0
import sys
while True:
alpha = lis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#alpha객체에 입력한 문자열의 문자 하나하나를 리스트화 한다.
if len(alpha)>100:
print("단어는 100글자 이하입니다.")
else:
print('alpha : ' , alpha)
break
d=[]
d .append("".join(alpha)) #d : ['ljes=njak']
print('d : ' , d)
croatia = ['c=', 'c-', 'dz=' , 'd-', 'lj' , 'nj' , 's=' ,'z=']
c = d[0] #d[0]요소의 값을 string형태로 c변수에 저장
print('c : ' , c)
sum =0
for i in range(len(croatia)):
print(croatia[i] , ': ' , c.count(croatia[i]))
sum+=c.count(croatia[i])
#string 형태로 저장되어있는 c안에 croatia리스트 안의 요소값의 개수를 세어보라
print(len(alpha) - sum) #기존 alpha의 값에서 dz= ==> 한단어로 취급
★★★KEY POINT★★★
기존 알파벳단어가 3개일지라도 3개--->1개 처리해서
len(alpha) -sum 을통해 크로아티아 알파벳의 개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.
728x90
반응형
'Python(백준) > 문자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★index 활용★[Python 백준 25206 번 너의 평점은] (0) | 2023.03.28 |
---|---|
[백준 파이썬 1316번]그룹단어 체커★rfind() , find()함수 활용하기★VER3.0 (0) | 2023.03.28 |
[백준 파이썬 1157번] collections.Counter() ★ 활용단어 공부★map()함수를 통한 객체 저장법 익히기★count()함수를 통한 개수세기★VER4.0 (0) | 2023.03.28 |
★문자열 슬라이싱★[Python 백준 10988 번 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] (0) | 2023.03.28 |
★range 범위 잘 지정하기★문자열★[Python 백준 10812번 바구니바꾸기] (0) | 2023.03.28 |